회사에서 전략을 수립하고 신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PRM과 TRM을 토대로 그에 맞는 실행을 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PM과 TRM에 대해 알아본 후 어떻게 작성하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PRM(Product Roadmap)이란?

제품로드맵(Product Roadmap)이란 회사의 비즈니스 목표와 제품의 방향성을 만드는 겁니다. 어떤 시장을 대상으로 어떤 제품을 어느 시기에 출시할 것인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마케팅, 전략, 영업, 고객지원 부서에서 작성하게 되며, 시장과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3~5개년의 목표 제품을 수립해야 합니다.

로드맵이 만들어지고 나서 고객의 요구나 시장 트렌드가 변화된다면 그에 따라 로드맵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TRM(Technical Roadmap)이란?

기술로드맵(Technical Roadmap)은 제품로드맵에 종속되어야 하며 제품로드맵에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기술들을 시간상으로 배치하는 겁니다.

제품에 관련 있는 기술을 각각의 시점에 맞게 초기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계획함으로써 그에 맞는 인프라 구축이나 인력을 편성할 수 있습니다.

PRM과 TRM의 차이

PRM과 TRM을 목적, 작성자, 대상자, 내용, 업데이트 관점에서 비교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해당 내용은 기본적인 구성으로 각 회사의 조직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구분

PRM

TRM

목적

제품 개발 및 기능 출시 계획

기술 발전 방향 및 인프라 개선(인력 편성)

작성자

제품 관리자, 기획팀, 마케팅팀, 영업

엔지니어링 팀, CTO, 기술 리더

대상자

경영진, 개발팀, 고객

개발자, 엔지니어링 팀, 기술 리더

내용

제품기능, 시장 전략, 출시 일정

기술 스택, 기술 부재 관리, 기술 도입 계획

업데이트 시점

제품 전략 변화에 따라 조정

기술 혁신 및 인프라 변경에 따라 조정

PRM과 TRM 작성 방법

PRM은 시장과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제품을 선정해야 합니다.

로봇 사업을 하는 회사가 신규로 로봇 강아지를 개발한다고 했을 때 처음부터 달리는 로봇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1세대 버전으로 걷는 로봇이나 바퀴가 달린 로봇을 우선 개발해야 합니다.

1세대 강아지 로봇이 개발 완료되면 로직이나 구성품을 변경해서 달리는 강아지 로봇을 만들 수 있을 겁니다. 3세대에서는 지능이 탑재되어 맹인견과 같은 특수 로봇견을 타겟으로 할 수 있습니다.

TRM은 각 세대별 제품에 관한 필요기술을 나열하게 됩니다. 1세대에서 개발된 기술이 2세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각 년도별 어떤 제품을 출시해야 하는지 도식화한 후 각 제품에 필요한 기술이나 업그레이드 시점을 작성하여 PRM과 TRM의 상관성을 한눈에 보이는 방법도 있습니다.(아래 이미지 참고)

PRM TRM sample
PRM TRM sample

위의 이미에서 RPM은 임시로 제품을 세대로 구분했습니다. TRM에서는 개발될 기술군을 나타내고 각 군에서는 필요한 기술 1, 2, 3, 4를 검토하게 됩니다. 수집 1의 기술의 경우 한 번의 개발로 완료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별 기술 업그레이드 필요한 상황입니다.

수집 1-2의 기술이 현 인원으로 개발이 불가능하다면 25년도 내에 해당 인력을 충당해야 합니다.(인프라 구축)

마치며

PRM(제품로드맵)은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보여주고, TRM(기술로드맵)은 ‘어떻게 만들 것인가’를 알려주는 겁니다. PRM과 TRM을 잘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개발을 체계적으로 해야 고객을 만족하게 하 경쟁사를 추월해 나갈 수 있습니다.